[단품] 2022년 삼성 QN55S95B 55인치TV OLED - 무상AS 5년 가능 새제품 관부가세+배송비 포함
구매방법 | |
---|---|
배송주기 |
정기배송 할인 save
|
기본배송비 | |
---|---|
설치신청 | |
제주배송비(TV) | |
펀조이멤버쉽(50-OLED/NEO/QNED) | |
옵션선택 |
TOTAL: 0 (0ea)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
Qn55s95b 후기 자세히 보러가기 : https://cafe.naver.com/funjoyre/898471. 태양광 자동 충전 리모컨리모컨을 저렇게 뒤집어 놓으면 자동 충전이 됩니다. 신기하네요우측은 기존 쓰던 qled의 리모컨이며외양이나 버튼 배치는 거의 흡사합니다.단 무게, 두께에서 qd쪽이 얇고 가벼워 장점입니다.단점은 설정이나 메뉴 조작시 일정시간 먹통이 잦습니다. 조만간 삼성에 문의 예정입니다.또 아쉬운 점은 우측 리모컨은 영화 감상도중 화면 설정을 바꾸려 할때가운데 홈 버튼을 누르면 진입이 편하지만좌측 qd 리모컨은 전원버튼 아래 123숫자 쓰인 버튼을 눌러야해서 손가락이 불편합니다.왜 이렇게 변경한지 모르겠네요2. 원커넥터 박스 부재원커넥터 박스 있는 모델들만 써오다이번 qd는 최고급 모델임에도 사양에 빠져있었습니다.원커넥터의 장점은 기기별 hdmi 및 usb 연결이편리하단 점입니다qd는 tv뒷면에 이렇게 연결해야합니다폰을 벽과 티비 사이 들이밀고 힘겹게 찍었습니다. 동봉된 메뉴얼에도 hdmi 순서가 없어서저리 하지 않곤 추후 사운드바를 earc 3번 단자에연결시 위치 못찾습니다.usb 외장하드 역시 2개 단자중 1A 지원되는 외장하드전용 단자를 잘 확인후 꽂아야 되는데이런 표시들을 측면에 하여 확인이 쉬웠으면어땠을까 싶네요선 안보이게 덮개도 있는데 혹여나 부러질까뗄떼 고생 좀 했네요이번 qnb 95는 원커넥터가 다시 지원된다고합니다. 작년 95a도 빠졌었나봐요추가로 단자가 티비 우측에 있어서저처럼 콘솔이 좌측 끝에 있을때거리가 빡빡했습니다. 오른손 잡이가 많으니우측에 배치를 한것이겠죠원커넥터면 선 길이 부담이 훨씬 줄어듭니다.3. 휘어진 패널해외 리뷰사이트인 알팅스에서도 얇은 패널로 인한 약간의 휘어짐이 있다고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만 역시나 측면에서 볼때 가운데가제법 휘어져있네요혹시 이 제품 구매하신분들은 직접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교환할까 했다가 직구라 번거롭기도 하고화질엔 영향이 없고 해외에서도 언급되어 있기때문에 또 5년 무상 보증이라 혹여나 번인이 온다면 그때 교환해봐도 되어서 이대로 쓰려고 합니다.4. 번인 및 불량화소 테스트, 5년 무상 보증, 번인 방지 프로그램이 제품도 oled계열이기때문에 번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특히 최대밝기로 이용하는 hdr 영상이나 게임들을 자주 오래 이용할수록 소자가 그만큼 타버립니다.또는 방송사 로고나 타이틀명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있는 케이블 방송이나 hdr이 아니더래도ui가 고정되는 게임들 경우에도 부분 번인에 취약합니다.뛰어난 화질임에도 뒤에서 잠깐 다룰 abl과 더불어제가 그간 oled를 택하지 않은 주요인이었습니다.특히 저는 게임이나 영상 시청도중 일시정지를 자주 하고 딴일을 5분ㅡ30분까지도 자주 보는데요일시정지 또한 oled에서는 가벼운 이미지 리텐션을 언젠가 유발할수 있고 심하면 영구 번인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저의 생활패턴과는 안맞는 셈이죠qled 같은 lcd tv는 그런점에서걱정없어 좋았습니다그럼에도 구매한 결정적 이유는펀ㅈㅇ 사이트에서 5년 무상 보증을 실시했기때문입니다. 5년간 걱정없이 쓴다?번인을 두려워할 이유가 없습니다.국내 대기업 롯손에서 보증하는 것이기에더더욱 신뢰가 갔습니다.불량화소, 번인 테스트 이상없었구요.추가로 삼성 qd oled는 3가지 방식의번인방지, 지연 프로그램이 있습니다픽셀이동은 자동 실시간으로 작동합니다.수시로요. 스마트폰으로 치면 백그라운드 실행인 셈.로고밝기조절은 앞서 언급한 번인 취약 로고 번인. 그 로고가 표시될때 해당 밝기를 낮추어 번인 방지하는 시스템인데 꺼짐ㅡ약하게ㅡ강하게로되어있으며 강하게가 로고 밝기를 많이 낮춰 방지에 더 유리하지만 반대급부로 게임에선 해당 ui들이흐릿하고 어둡게 표시될수 있어서알팅스에서도 약하게가 권장값입니다.픽셀새로고침은 티비를 껐을때누적사용4시간 간격마다1시간씩 작동하여 픽셀의 선명도를 되살려주는 기능을 하는데티비를 끌때마다 이 메뉴를 눌러줘야하는지 여부는삼성에 문의해볼 예정입니다.수동으로도 바로 시행하는 옵션도 있습니다.미루어볼때 6-8시간씩 몰아서 시청하기보단 4시간여 이용후 1시간 쉬어준단 개념으로끄고 이걸 실행해주면 번인방지에 더 도움이 될거같고 이는 엘지 oled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5년 무상보증 가입하셨다면그냥 쓰세요;;5. 엘지와 달리 로컬변경 필요가 없는 삼성, 추가 설치 필요없는 있을거 다 있는 기본 앱들, 자동 펌웨어 업데이트기사님들 오셔서 설치후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하시니 그걸로 끝입니다. 따로 로컬 변경 작업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큽니다삼성플러스 방송들도 잘 나오고 tv내 메뉴들 다 한글이고기본적으로 넷플릭스부터 아마존, 디즈니, 웨이브, 티빙, 유투브, 인터넷 웹브라우저, 애플tv, 쿠팡 플레이까지 다 설치되어 있고 잘 작동됩니다.개인적으로는 애니 전문 ott인 라프텔 정도만추가로 깔면 되겠네요참고로 지상파 방송3사의 uhd 방송은 못봅니다. 엘지는 로변후 가능할지 알수없으나삼성은 안됩니다.올레같은 iptv나 지역 케이블은 다 가능합니다하나 아쉬운 점은 신형이라 그런지기능들이 다양한데 이를 보다 깊이 이해할수 있는e-메뉴얼은 영어입니다. 한국어가 없네요 ㅠㅠ메뉴에서 설명이 나오긴 하지만 아쉽네요한국 출시 자체가 안되다보니 그런것인지공홈에선 한글 메뉴얼이 지원되는지 여부는아직 확인 안해봤습니다추가 ㅡ 펌웨어 업데이트가 국적이 달라 미국 공홈에서 usb로 받아야한다는 글을 어디선가 얼핏 본 기억이 있는데아닙니다. 그냥 자동업데이트 누르고 최신 펌웨어 1211로 잘 업그레이드 되네요. good6. 멀티뷰, 실시간 방송 채팅멀티뷰는 지윈가능한 상황에서 두개 화면 동시 시청됩니다작년 삼성 8k 광고에서 무쟈게 보여줬고관심 갔던 기능이었습니다. 작년 4k neo qled도이 기능이 지원됐었나 확인 안해 모르겠지만어쨌든 이 제품은 되네요 올레에서 오래전 나왔던 두 채널 동시 시청과는 좀 다른게 멀티뷰는 게임과 영상 멀티, 유투브등 플랫폼 서로 달라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아래 사진처럼 좌측은 플스 게임 화면, 우측은 유투브 영상으로 동일한 크기의 2 화면을 띄우거나일반적인 pip 화면처럼 모서리쪽에 작은 화면을 띄울수도 있습니다.설정에 따라방송이나 게임도중 폰에서 유튜브 화면을티비로 캐스트하면 자동으로멀티뷰도 가능합니다이럴줄 알았으면 65인치로 갈걸 그랬습니다. ㅠㅠ위 사진은 현재 베타 기능인 실시간 방송 채팅 기능입니다.pc와 폰에서야 아프리카나 유툽 실시간 채팅이 익숙하지만요이렇게 티비에서 방송을 보며실시간 채팅을 한다? 신박하네요아직 삼성22년 모델 구매자가 적어선지베타여선지 몰라도방송 채널별 채팅방 참여자수가 몇 안되긴하지만앞으로 잘 정착되면 반향 클것으로 보입니다삼성플러스뿐 아니라 올레같은 iptv에도적용이 될? 되는? 거로 아는데해지했던 올레를 그때가서 다시 계약해야 할까봐요그럼 채팅은 어떻게 하느냐?폰 연동후 티비로 방송 보시면서 폰으로채팅 하면 티비화면에 저렇게 다 뜹니다혹은 키보드가 티비에 연결이 되니그걸로도 가능할진 모르겠네요. 7. xbox 게임 콘솔 스트리밍 서비스 최초 지원,애견도 돌보는 스마트 씽스비디오 게임 좋아하신다면 닌텐도, 플레이스테이션 한번쯤 들어보셨을겁니다.마이크로소프트의 xbox가 있는데게임 구독제인 xbox gamepass 의 스트리밍을 곧 삼성22년 모델에서 우선 실시합니다.그동안 스트리밍은 태블릿과 폰에서만 가능했습니다. 콘솔 없이도 하드 디스크같은 저장용량없이 설치할 필요없이해당 앱을 티비에 설치후 바로 실행하면 됩니다패드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해외 사전 리뷰에선생각외로 안정적이라고 하네요비록 해상도는 fhd로 돌아가지만티비에서 게임 스트리밍도 되는시대에 살고 있습니다.엘지나 기타 업체에도 비슷한게 있는 스마트씽스.가전이 하나로..스마트하게.. 리모컨 하나로 조종하고 밖에서도 원격조정 가능한 첨단시대에 살고 있습니다.물론 해당 제품이 지원을 하고 같은 제조사끼리 연동이 되겠죠그중에 펫케어 기능은지원되는 삼성 로봇청소기나 티비등이 있다면애완견에게 유용한 방송을 보여주거나영상을 실시간 전송해주거나공기중 애견 털 관리나컨디션 체크 등. 지원되는 기기들 전 없는 관계로 패스8. 화상통화웹캠 장착시 구글 듀오를 통해티비에서 최대 32명까지 화상통화가 가능합니다구글 듀오는 이미 갤럭시등을 통해모바일에서도 익숙한 화상통화앱입니다9. 사운드내장스피커는 작은 볼륨에서도 명료한 보이스를 준수하게 들려줍니다. 최신 삼성 사운드바와 연동하면q심포니 서라운드가 적용되어 사운드바만 단독으로 쓸때보다 좀더 풍부한 사운드를 들려준다고 합니다10. 게임, hdmi 2.1 풀대역 게임모드에선 hdr10뿐만 아니라돌비비전과 유사한 동적메타데이터인hdr10 + 도 톤매핑 지원하네요인풋렉 또한 10ms 이하로굉장히 좋은 편입니다.120fps, 144hz, vrr, amd 프리씽크등 최신기능들 잘 지원하며특히 hdmi 2.1 단자를 4개 모두 풀대역폭을 드디어 지원합니다.그동안은 2.1단자는 1-2개 혹은 반쪽 대역폭이었습니다.hdr 게임 화질이 굉장합니다qled도 화질이 좋지만 더 쨍합니다.거기에 일반모드가 아닌 게임모드에서의화질차이라거나 일부 게임에서의 로컬디밍으로 인한 차이는 더 있을것으로 보여집니다.11. 첫짤 빼고는낮에 찍은것입니다. 블라인드는 1/3 정도만 내렸습니다. 거실 창가 방향은 정남향은 아니고남서향입니다. 빛 잘 들어오는 곳입니다. 지대도 높아서..우측 qled쪽이 위치가 더 창가쪽이예요그래서 사진상으로도 실제로도빛이 좀 비치는게 보이실겁니다. 블루밍이 아닙니다 해당 영상들의 디테일과 색감을 말씀드리자면 qd쪽이 일부씬에서 색감과 디테일이 조금 더 나으나전반적으로 상당히 비슷하되올레드쪽이 좀더 쨍한 화질입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hdr 소스들 보면서 좀 놀란게삼성 qd oled가 밝기에서 더 강한qled랑 비슷하면서 좀더 쨍하단 점이었습니다암실 아니어도요..oled에서 현재 가장 밝은 제품중 하나입니다일전에 옆게에서 c1인지 cx인지 oled쓰는분이디즈니 마블 로키 라는 드라마가 실내씬이 어둡다고 하소연을 하셨던데제 qled에선 그 정도로 어둡진 않았거든요이번 qd랑 다시한번 로키의 실내씬을테스트해본바 어둡지 않습니다.둘 다 비슷.원본은 조금 어두운게 맞을거예요필름 메이커 모드로 유추해보면..리뷰에서도 qd가 간혹 감마 곡선을 벗어나 밝다라고도 지적했으니까요근데 보는 입장에선 그게 더 좋은걸요..위 사진은 qd에서두 가지 모드를 찍어본겁니다색상과 디테일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앞서 언급한 어두운 구간씬은 아닙니다11. 화면모드별, qled와 비교qd는 4가지 모드가 있고 이중 필름 메이커 모드는hdr에서 pq 감마곡선을 거의 완벽하게 따른다고 합니다 ㅡ 1211 펌 기준. 해서 영화의 원본에 가장 가깝다고 하는데요그래서 밝기는 넷중 젤 약하지만 주간에 보기엔 조금 어둡고 흐릿할수 있지만 암실에선 눈이 편하고 밝기 충분합니다. 자연스런 화질입니다 부분적으로 디테일이 잠길수 있지만그게 제작자의 원 의도에 가까운 화면이란 것이지요하지만 대중들은 전문가와 달리밝고 쨍한 화면을 선호합니다 그것이 삼성이 매년 원본을 왜곡한 화질에도 잘 팔리는 이윱니다hdr 영화모드는 현재 펌업에서 문제있다고 들었는데자세한건 모르겠으나구름 같은 일부 하이라이트 디테일이 조금 날립니다.더 밝고 암부 디테일등은 더 표현됩니다구름이 항상 날리는게 아니고컨텐츠 따라 다릅니다hdr 표준화면 역시 밝고 쨍하지만 구름이 날아가진 않습니다.대신 색재현에서 보통으로 설정해도타모드들의 확장 설정보다 색이 일부 더 진해서간혹 덜 자연스럽습니다. 과포화상태라고 하나심한건 아니니 취향따라...hdr영상을 보실땐색재현을 표준,선명 제외하곤확장으로 추천드립니다자동은 hdr소스에서 간혹 제대로 적용안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sdr 일반 영화경우에도알팅스에서영화모드 설정값 공유했고감마, 화밸 등 완벽에 가깝다고 했으나이렇게 보나 타모드로 보나암부 디테일등 큰 차이 없어요오히려 전체적으로 밝기가 어두운데100니트 밝기 암실 기준이라 그래요.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qled는 표준모드는밝고 쨍하지만디밍 처리가 떨어져블루밍을 볼수 있고암부도 묻히곤 합니다반면 영화모드는 hdr 기준디밍처리가 우수합니다암부 디테일도 좋습니다만 일부 하이라이트 디테일이 날아갑니다sdr은 표준모드 추천. 12. 애니메이션은 그래도 qled가 짱전체적으로 색감, 디테일은 비슷합니다하지만 qd는 모드와 색상값에 따라특정색이 찐하거나 연해서qled쪽이 저는 더 자연스러운거 같습니다만약 oled 계열 쓰는 이들이 더 찐한 색상때문에 애니도 oled 선호하신다하면 qled도 선명모드 쓰시면애니는 oled 흡사한 찐한 컬러를 보여줍니다이런 색은 오래보긴 부담이라 저는 안쓰지만 언듯보기엔 화려해보이죠순백색의 화이트, 쨍한 밝기 이런 부분들때문에애니는 qled가 oled보다 나아요최대한 비슷하게 조정은 가능해도 차이 납니다13.qd oled는 듣던대로 기존 woled보다 밝기가 향상되어서 hdr 컨텐츠 감상시 qled에 밀리지 않는 밝기를 보여줍니다. 밝고 쨍합니다. 더 쨍할때도 있어요 . 반사처리도 좋습니다. 거기에 좀 더 확장된 색분포,일부 컨텐츠에서의구름이나 햇살 쬐는 창가 커튼 주름 등의 하이라이트 디테일도 qled보다 개선이 되었습니다.명암비가 좋아서 좀더 화면이 생생한 느낌이 듭니다. 리뷰에서는 빛이 있는 환경에선블랙이 뜨고 분홍색조도 보인다고 해서최고의 화질을 위해 암실을 권장하더군요유투브 비교 영상중에도 게임화면에 qd가 분홍색조가 계속 보여지는 부분도 있어 걱정했는데실제 hdr 영상, 게임을 보기론 문제가 없었습니다.해외 리뷰에선 따뜻하게2를 정석으로 합니다. 그게 표준 색온도에 가까워서요한국인들은 더 높은 색온도를 선호하니중간 이나 따듯1 을 추천드립니다.2로 할 경우 sdr 영상에서 일부 배경 분홍색조가더 눈에 띌수 있습니다.아무튼 이 제품을 굳이 암실용?전혀 그러실 필요 없습니다oled의 블랙, 디밍 완벽하다는데이미 준수한 qled를 써와서인지좀더 좋긴한데 큰 느낌은 없었고오히려 암실에서 hdr. sdr. 공포장르 등비교해보며 암부나 디밍, 블랙 등에서lcd인 qled가 선전한다고 느꼈습니다.대부분의 화질, 화면 구간은 엇비슷했거든요물론 qd가 더 좋아요애니메이션도 흡사하나 더 밝은qled가 낫네요. 흰색 순도가 더 높고색이 좀더 자연스럽습니다. 애니만큼은 qled의 손을 들어주고싶습니다가끔 발동하는 abl 경우예전 oled는 밝은 씬에서 abl발동으로흰색이 누렇게 혹은 밝기가 낮아지는게눈으로 잘 느껴졌다면qd는 그부분에선 잘 못느꼈고오작동? 으로 특정구간 어두워지는걸 한번 경험하긴했는데 좀더 테스트가 필요해보이지만어쨌건 abl은 oled쪽의 단점입니다14. 정리삼성의 첫 퀀텀닷 oled인 s95b는다양한 최신 기능들을 보유하며화질에서도 기존 woled들의 장점인암실에서도 깊은 블랙과완벽한 디밍처리를 보여주며hdr부문에선 qled의 장점인 밝기와퀀텀닷 소재에서 오는 더 넓어진 색역을 두루 갖춘현존 최고의 화질입니다.그리고 그런 qd에 hdr, sdr , 암부 디테일, 색상 등 그닥 안밀리는화질을 보여준, 그간 상대적으로 저평가받아온 qled에도 찬사를 보냅니다.제가 계속 언급한 qled는 최고급 직하형 9시리즈 모델입니다. 아래 라인업은 아닙니다.알팅스에서hdr 영화는oled 8.9~9.1qled 8.5~8.6sdr 영화는oled 9.3~9.4qled 8.3~8.4인데제가 몇몇 sdr 영상을두 모델 직접 동시 비교해보기론알팅스의 sdr 점수차이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물론 알팅스는 제품 출시 초반 위주의 평가고삼성은 이후 몇년간 지속적 펌업을 해주기때문에그 펌업 버전에 따라티비의 디밍처리 비롯 화질 차이가 일부 존재하기때문에 그런건가 싶기도 하지만요뭐랄까 삼성이 이번 치팅 조작사건에서도 보여주듯밝기에 지나치게 몰입하는거 아닌가?해서 초반엔 밝기에 강점 , 동반되는 블루밍이 문제라면 어느순간부터 블루밍이 개선이 됩니다어쩔땐 과한 디밍처리로 디테일이 더 잠기기도 합니다 펌버전 따라..제가 테스트한 목록이 아래와 같습니다1. hdr 디즈니 로키 1화 초반부. oled쓰는분들이 다소 어둡다고 한 구간 포함. ㅡ qd , qled 모두 별 문제없었습니다. 그리고 비슷한 화질2. 유튜브 hdr sony 라스베가스 및 lg oled chess 홍보영상 ㅡ 소스 자체가 뛰어나서 qd, qled 모두 환상적인 화질을 보여주나 qd가 펀치력이 더 있습니다. 낮이든 밤이든..소스가 좋을수록 그만큼 더 보답하는 qd3. 넷플릭스 hdr 그 남자의 집 ㅡ 밝은씬 둘 다 쨍하고 비슷함. 암실에서 ㅡ 어두운 씬 중후반 어둠속 불꽃이 올라오며두 손이 등장하는 구간 및 폭풍우 치는 야간의 파도위 어선 ㅡ 비슷하나 qd쪽이 살짝 암부 디테일이 나아보이네요. 블랙도 약간 더 진한데 큰 차인 없습니다. 4. 넷플릭스 4k uhd sdr 올드 암실에서 ㅡ 후반 어두운 동굴씬 ㅡ ips패널 나노셀 티비이거나 va패널 qled 엣지형이면이 극한 구간에서 블랙도 들뜨고 빛샘이 비치거나클라우드가 여기저기 피며 난리날겁니다.암부 디테일 무너져서 거의 안보이거나요qd야 oled니 저런 구간도 문제없이 수행하지만qled직하형도 엇비슷하게 잘 처리합니다.블루밍이 두세장면 살짝씩 보이긴하지만요5. 넷플릭스 그땅엔 신이 없다 암실 ㅡ 어두운 구간들 비슷, 밝은 구간 일부 구름과 창가 커텐등 디테일 qd 승6. 스파이더맨 파프럼 홈주간 ㅡ 비슷하나 qd가 좀더 생동감기타 애니들..게임 ㅡ ps5 hdr 데스 루프, 메타폴qd가 더 쨍하고 색도 더 찐함qled 강점이 밝은 구간 쨍함인데oled의 명암비에 밝기가 받쳐주니이를 상회함. 7. sdr은 oled의 전체밝기가 200칸델라로qled의 500이 넘는 밝기에 못미치며50% 구간 밝기 및 나머지 구간 피크 밝기도 차이가 크므로 야간씬은 qd나 oled가 더 유리하나여전히 주간씬은 밝기깡패인 qled가 좋습니다abl이란것도 없으니까요8. 넷플 기묘한 이야기 시즌3 3화암실 ㅡ 초반 15분? 이후두 아이가 묶인씬 이후어둠속에 한 아이가 움직이며피사체도 작아지는데이 극한 구간도qd가 완벽했지만qled도 눈에 띄는 블루밍 없이 안정적으로잘 처리결론삼성에서 qd oled 1세대 라는 우려에도 불구화질이나 완성도, 디자인, 기능적으로도성공적입니다만약 자신의 tv가 밝기가 낮은 구형 oled이거나 나노셀 직하형이거나엣지형 qled 라면 qd oled로의 기변을 강추드립니다. 돌비비전을 염두해두셨다면 c2나 g2로 추천드리구요q90r이나 90a qled를 쓰고 계신다면당장 기변하실 이유는 없습니다qd가 암실 자막 블루밍 제어 , 색상 등 더 좋은건 맞지만 기변 금액을 고려할때 전반적으로 큰 차이까진 아닙니다. qd의 문제가 아니라그만큼 qled도 나름 잘 만들어 내놓았다는 것이지요7-80점짜리 쓰다 97-99점짜리 쓰는것과89-90점짜리 쓰다 97-99점짜리 쓸때 감동의 깊이는 다르지 않겠습니까?하지만 삼성이 아직은 qd oled 추가 투자에 소극적이고 woled패널을 언젠가 수급받을지도 모르기때문에지금 5년번인무상보증이 될때 소량 생산된qd oled로의 기변을 자금 여유되신다면 하는것도 괜찮으리라 보여집니다. 단 인치를 65로 가세요인치 다운그레이드 가지 마세요 ㅠㅠ성**** 12
글읽기 권한이 없습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출입을 금합니다!